※ 본문을 잘 읽고 다음 문장 중 맞는 것에는 ○표, 틀린 것에는 ×표를 하시오.
1. 국어는 언어로서의 보편성뿐만 아니라 개별적인 특질을 지니고 있다. ( )
2. 국어에서 파열음 계열에 속하는 자음은 이중체계로 되어 있다. ( )
3. 국어는 ‘달∶딸∶탈’에서와 같이 ‘예사소리∶된소리∶거센소리’의 대립을 보인다. ( )
4. 국어의 단모음에는 ‘ㅣ, ㅔ, ㅐ, ㅟ, ㅚ, ㅡ, ㅓ, ㅏ, ㅜ, ㅗ’의 10개가 있다. ( )
5. ‘밤[夜]’을 길게 발음하면 ‘밤:[栗]’이 되는데 국어에서는 길이도 음운으로 인정한다. ( )
6. 국어는 계통상 알타이어에 속하는데 그 공통특질에 두음법칙과 모음조화 등이 있다. ( )
7. 두음법칙은 현대국어로 올수록 약화되고 있다. ( )
8. 어두에 중자음이나 유음‘ㄹ’과 ‘ㄴ’, 구개음화된 ‘ㄴ’등의 소리가 오지 않는 현상을 두음 법칙이라 한다. ( )
9. 음절의 끝에서 자음은 모두 제소리 값을 낼 수 있다. ( )
10. ‘흙’은 /흑/, ‘흙은’은 /흘근/, ‘흙 위’는 /흐귀/로 발음하는 것이 옳다. ( )
11. 15세기 중세국어에서 모음조화는 엄격하게 지켜졌다. ( )
12. ‘새로와’가 ‘새로워’가 된 것은 모음조화가 파괴된 예로 볼 수 있다. ( )
13. ‘먹이다’가 /메기다/, ‘잡히다’를 /재피다/로 발음하는 것은 표준발음법이다. ( )
14. 비음에는 ‘ㄴ, ㄹ, ㅁ, ㅇ’ 등이 있다. ( )
15. ‘진리’가 ‘질리’로 발음 나는 것은 설측음화의 예이다. ( )
16. 양성모음은 음성모음보다 크고, 어둡고, 무거운 느낌을 준다. ( )
17. 음상은 어감의 분화뿐만 아니라 낱말의 뜻을 분화시키기도 한다. ( )
18. 국어의 어휘에는 한자어가 차지하는 비율이 높다. ( )
19. 소리, 동작, 형태들 모사한 상징어가 발달되어 어휘를 풍성하게 한다. ( )
20. 국어에 감각적인 어휘가 풍부하게 발달되어 있다. ( )
21. 높임법이 발달한 것은 상하 관계가 중시된 사회 구조의 영향 때문이다. ( )
22. 국어는 문법적 관계를 나타내는 조사와 어미가 발달한 굴절어에 속하는 언어이다. ( )
23. 국어는 서술어가 끝에 와 청자가 비판적으로 들을 수 있는 장점을 지닌다. ( )
24. 국어의 주어와 서술어 사이에는 이차적 사실이 언급되어 장문이 되기 쉽다. ( )
25. 영어와 국어는 어순이 다른 만큼 언중의 생활 양식과 사고 방식도 다르다고 볼 수 있 다. ( )
26. 국어의 특질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지 않은 것은? ( )
① 높임말, 한자어, 감각어 등이 많다.
② 수식어는 피수식어 앞에 오며, 서술어는 목적어 뒤에 놓인다.
③ 현대국어로 올수록 모음조화가 강화되는 현상을 보인다.
④ 자음 중 파열음과 파찰음은 예사 소리, 된소리, 거센 소리의 삼중체계를 이룬다.
⑤ 국어의 음운은 자음 19개, 모음은 21개인데, 길이도 음운으로 인정한다.
27. 다음 중 표준발음법에 어긋나는 것은? ( )
① 밥물[밤물] ② 지팡이[지팽이] ③ 홑이불[혼니불]
④ 한라산[할라산] ⑤ 꽃을[꼬츨]
28. 다음 문장 중 어법에 맞는 것은? ( )
① 할아버지, 아버지께서는 지금 주무십니다.
② 다음으로 교장선생님의 축사가 계시겠습니다.
③ 선생님께서 나한테 철수를 불러 오시래.
④ 할머니, 내가 말씀드렸잖아요.
⑤ 아버지, 형은 잘 갔을까요?
정 답
1. O 2. X 3. O 4. O 5. O 6. O 7. X 8. O 9. X 10. O
11. O 12. O 13. X 14. X 15. O 16. X 17. O 18. O 19. O 20. O
21. O 22. X 23. X 24. O 25. O 26. ③ 27. ② 28. ⑤